사출 버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 수지가 금형의 퍼팅라인을 따라 튀어나와 발생하는 불량입니다.
이러한 사출 버가 제품 내부에 잔류하면 제품 파손의 원인이 되고, 제품의 내구성과 외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품질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사출 버는 제품 품질 관리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출 버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금형의 설계 및 제작 문제입니다. 금형 설계 시
퍼팅라인의 위치나 크기 등이 잘못 설계되면 수지가 새어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금형
가공 과정에서 발생한 버 또는 거친 표면 등의 결함도 사출 버 발생 원인이 됩니다.
사출 공정 조건 역시 사출 버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주입 속도나 압력, 금형
온도 등이 적절하지 않으면 수지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입 속도가 너무 빠르면 수지가 금형 벽면을 타고 새어나갈 수 있으며,
온도가 너무 낮으면 수지의 유동성이 떨어져 버가 발생합니다. 이처럼 공정 조건을
최적화하지 않으면 제품 불량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 외에도 수지의 특성이나 건조 상태, 금형의 청결도 등이 사출 버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수지의 점도나 흐름성이 좋지 않거나 수분 함량이
높은 경우 버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금형 내부에 이물질이나 잔류물이
있으면 수지 흐름을 방해하여 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출 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첫째, 금형 설계 및 제작을 개선해야 합니다. 금형 설계 시 퍼팅라인의 위치와 크기를
최적화하여 수지 누출을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금형 가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버나
거친 표면 등의 결함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사출 공정 조건을 면밀히 관리해야 합니다. 수지의 유동성과 금형
온도 등을 적절히 제어하여 수지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주입 속도나 압력 등의 조건을 최적화하면 버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셋째, 수지 특성 및 건조 상태를 엄격히 관리해야 합니다. 수지의 점도,
흐름성, 수분 함량 등이 적절한지 확인하고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지 유동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합니다.
넷째, 작업 환경과 금형 청결도를 관리해야 합니다. 금형 내부에
이물질이나 잔류물이 없도록 철저히 청소해야 합니다. 또한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오염 가능성을 차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밀 건식 디버링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 기술은 CO2 입자를 이용하여 버를 제거하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공정입니다. 기존 방식에 비해 제품 손상 위험이 낮고 작업 효율성이
높아 제품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정밀 건식 디버링(Precision Dry Deburring)은 CO2 미세 입자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사출 버를 제거하는 공정입니다. 기존의 연마, 샌딩 등 디버링
방식과 달리 제품 손상 위험이 낮고 작업 효율이 높습니다.
정밀 건식 디버링 공정은 주요 변수로 입자 크기, 압력, 등을 조절하여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형상의 제품이나 미세 구조물 디버링에도 적합하며, 전자, 자동차,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제품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합니다. 사출 버 제거로 제품 성능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후속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 효율성이 높아
원가 절감 효과도 있어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사출 성형 공정에서 발생하는 사출 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형과 공정 조건 최적화,
수지 관리 강화, 작업 환경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정밀 건식 디버링
기술의 활용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