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제는 우리눈에 화학약품이 섞여 있는것처럼 보이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그렇게만 보일뿐 분자구조는 전혀 변하지 않은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있으나, 극한의 환경일때
고온이나 고압의 환경에서는 문제가 야기된다.
화학약품은 발화점이나 증발점이 제각각 다르기 대문에
온도에 민감하다.
온도에 따라 미리 증발해버리기도하고,
변질되어버리는등의 문제가 발생할수있다.
이형제가 표면에 남아있는데도 이형효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것이다.
고분자 체인기술은 이런점을 보완하여 견고한 고분자가 합성되어 분사 후 고열에도 윤활층이 잘 파괴되지 않는다.
특정 성분의 유리를 막아 이형제가 이형 성분을 오래 유지할수 있도록 한다.
고분자 체인기술은 350도에 근접하여도 제성능을 유지한다.
<<용어 정리>>
이형제 : 압축 성형 혹은 캐스팅 등의 경우, 플라스틱 성형품이 금형 내면에 부착하여 제거되지 않는 일이 없도록 즉 주형이 잘 떨어지도록 금형 내면에 칠하는 윤활제나 왁스류를 말한다. 금형면에 칠하고 나서 가열하여 눌어붙여 몇 회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이형제에는 실리콘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파라핀, 왁스류, 테플론 디스퍼젼(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분산상) 등이 이용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발화점 : 물질을 공기 또는 산소중에서 가열할 때 발화하거나 폭발을 일으키는 최저온도로 착화점(着火點)이라고도 한다. 발화점이 높을수록 불이 붙는 온도가 높아지고, 불이 났을 때 물을 뿌려서 물체의 온도가 발화점 이하로 내려가면 불이 꺼진다.[네이버 지식백과] 발화점 [ignition point]
단조 이형제의 단점을 잡은 이에스지 단조 이형제 (ESG 백색 이형제) (0) | 2018.01.16 |
---|---|
이형제란 무엇인가?(친환경 이형제, 실리콘 이형제, 단조 이형제, 아루미늄 이형제,마그네슘 이형제, 다이캐스팅이형제,실리콘 단조 이형제) (0) | 2017.12.14 |
마르지 않는 단조 이형제 (ESG 드라이아이스세척기) (0) | 2017.10.05 |
불 붙지 않는 단조 이형제 (ESG 드라이아이스세척기) (0) | 2017.10.05 |
타거나 불붙거나 증발하지 않는 단조 백색 이형제 (ESG 드라이아이스세척기) (0) | 2017.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