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금형세척기로 왜? 드라이아이스세척기인가. 현상과 현실

분야별 기술적 DATA/세척의 기본 자료

by ESG-정밀건식세정기 2015. 7. 25. 08:23

본문

 

 

 

불량의 핵심은 조방부터 시작 입니다

금형의 관리는 조방에서 부터 시작 해야 합니다.

아무리 CAVITY면을 잘 딱으면 무엇 합니까

조방부터 이물,가스,습도 등등 제거 해야 하는 것이 증착 되 있는데...

기초가 깨끗해야 제품이 잘 나옴니다

 

즉 문제의 순서

1. 조방부분의 면세척 문제/ 부식(가스에 의한 부식층 )

2. 금형의 온도 흐름의 불량/ 물론 냉각수 문제를 봐야 할 겁니다

3. 가스 흐름의 불량/ 가스방출의 문제------측 금형 외곽부분의 세척문제

4. 기초부터 상,하측 컨텍이 일치하지 않으니 사출압만 올리고 버(Burr)는 더욱 차고 그러니 문제 가중...

 

위의 문제들은 아마 사출금형의 대동소유하게 비슷 할 것이라 생각됨니다

해결책 있습니다.

문제는 작게 풀어가는냐 크게 풀어가느냐 선택하셔야 할 것입니다

 

현장과 주변조건등 여러가지를 종합하여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그중 가장 손쉬운 그리고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드라이아이스세척(건식세척)이라는 것 입니다.

조금의 자료를 본 블러그에 올려 놓았습니다

 

무늬만 건식은 오히려 위혐합니다.

현장을 정확히 판단하여 최대한 근본적인 문제부터 해결해야 합니다

중요부분으로 간주하는 시각의 변화, 문제의 발단, 해결방법의 변화 등

 

자세한 내용, 금형 진단 , 드라이아이스세척(건식세척)의 방법은 아래로 문의 주십시요.

 

문의: ESG /  기술사 정동섭 010 2785 2984  4000gocrown@hanmail.net

 

 

 

 

A. 드라이아이스세척기를 검토 할때 고려 할 내용

 

건식세척의 일환으로 드라이아이스세척기를 검토 할때 우선적으로 어떤 장비 또는 얼마나 세척이 잘 될까? 하는 의문점과

망설임이 있을 것이다

준비를 해야 하는 내용은 무엇이며,손상은 되지 않을까?

인체에는 해롭지 않을까? 가끔 동상의 위혐은 없을까? 하는 의문을 갖기도 한다

검토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세척대상물의 상태

  -어떤 이물질인가?

  -어떤 조건에서 형성된 이물질 인가?

  -세척당시 온도는 어떤가?

2. 세척을 원하는 정도는? / 수치적으로 또는 정량적으로..

 

3. 기존의 세척의 문제점은?

  -경제성

  -세척력

  -작업편리성

  -2차 오염물질

 

4. 기존의 세척 비용은?

 

5. 대상물을 이동하여 세척을 대기 할 수있는가?

 

위의 내용을 가지고 아래의 문의처로 연락주시면

기존의 세척과 비교, 자료화 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세척기 도입여부를 결론 지을 수 있을 것이다

 

B. 올바른 드라이아이스세척기의 사용법

 

1. 펠릿(드라이아이스)의 분사량과 세척력의 관계

 

   세척대상에 따라 최적량을 사용한다.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펠릿분사량과 세척력은 비례하나 어느 지점에서는

   하향을 나타낸다(양 포물선 선도).

   최고정점의 위치에 있을 때의 분사량이 가장 경제적인 세척이다.

   평균적으로 실온보다 5도 정도 높을때 1kg/min의 분사량이 적당하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 금형의 cavity형상, 온도 등에 따라

   분사량을 0.3kg/min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즉 사용자는 최적의 분사량을 실 적용사례에 따른 분사량으로

   추천받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전문상담 추천)

 

      

     

     위의 그래프에서 비례구간이후 하향을 나타내는 이유는 주변온도의 하강으로

     열충격치의 감소,분사량 과다로 세척풍압을 방해하는 배압형성 등으로 정점 이

     후 세척력은 반비례관계를 나타낸다.

2. 에어압력과 세척력의 관계

 

 에업압력과 세척력은 기본적으로 비례관계를 갖는다(아래 그림을 참조)

 하지만 정비례보다는 일정 압력이후 에는 그 상승곡선이 완만해 진다.

 다시 말해 에어압력을 올린다고 해서 세척력이 비례로 증가 하지는 않는다.

 물론 증가는 하지만 초기처럼 증가를 하지는 않는다.

 

  F = ma의 관계식 에서와 같이 질량을 올리던 아님 속도를 올리 던

 둘중 하나를 상승시키면 세척력은 증가하게 된다.

 속도는 에어압력과 비례관계에 있다.(유체역학 참조)

  

 즉 위의 모든내용을 종합해 보면 

 에어압력 5bar일때 가장 최적의 상승부분에 있게된다 (실험치로 5bar가 최적임)

 그래서 5bar의 압력에서 세척력을 경제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아주 특별한 경우로 고압 20bar이상의 압력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세척력은 증가하나 주변기기(컴프레셔,장비의 실링..)의 문제로 인하여

 일반컴프레셔를 대상으로 그리고 경제성을 고려 할 때 5bar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외 더 자세한 설명을 원 할 경우 아래로 연락주시길 바람니다.

 

드라이아이스세척기의 전문가 도움을 받길 바람니다.

 

 

 

 

현장에 가보면 언제나 바쁘다.

생산은 해야하는데 금형에 문제가 있으니 찍으면 불량이고, 찍지 않으면 생산을 못 맞추고...

금형과 관련된 업을 하시는 분은 누구나 경험하셨을 것이다.

이제부터 금형세척과 그 관련 내용을, 현장을 중심으로 차근차근 짚어 풀어가겠다.

또한 그내용을 연재하려고 한다.

 

가장 처음으로 다룰 문제를 나열해 보겠다.

1. 왜 금형을 세척해야 하는가?

   "왜?" 란 질문을 하면 반은 접근한 것이다. 그곳에 문제의 핵심이 있으니 다시 말해

   '세척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가?' 로 바꿀 수도 있다

 

2. 세척을 한다면 무엇을 닦아야 하는가?

   여기서 잠깐!  세척과 닦는것은 어떻게 다른가?  하나는 한자표기, 하나는 한글표현법...?

   필자의 개인적인 구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세척- 잔유물이 남지않는 행위.

   닦는것- 잔유물과 상관 없는 세척으로 가는 행위.

   우리는 누구나 닦고 있으나, 엄격하게 말하면 세척은 못하고 있다.

 

3. 그럼 시기는 언제 딱아야 하는가?

   조금 유식하게 표현해서 세척주기라 하자.

   세척주기는 비용과, 결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항목이다.

   유동적으로 또는 고정적으로, 아니면 그냥 그때그때 다르게....?

   시기는 세척량과 관련이 있다.

   또는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도 하다.

 

4. 마지막으로 세척하는 방법이다.

   방법은 저마다의 기질과 나름대로의 특징을 살려 세척하고 있다.

   원인에 따라 다르게,

   결과에 따라 다르게,

   비용따라 다르게,

   품질의 기대치에 따라 다르게!

 

   현장에서 보면 가끔 그저 방법만을 보고 결과를 역으로 판단 또는 단정하는 무지막지한 사람들이

   있다.

  

 

 

 

관련글 더보기